안녕하세요
요즘 많이 더우시죠?
2023년 또한 우리나라와 동남아를 포함하여 세계 각 국의 평균 기온이 급상승 하며
지구온난화 문제가 다시 대두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2024년에는 역대급 무더위가 찾아온다고 합니다
지금부터 그 내용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
2023년 4월 부터 때 이른 더위에 스페인은 이미 40도, 태국은 45도의 기온을 기록하였습니다
인도에서는 이미 더위로 15명 정도의 인구가 사망했다는 뉴스가 나왔는데요
아직 6월밖에 되지 않았지만 강도 높은 폭염에 많은 전문가들 또한 지구 온난화에 대해 우려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4년 역대급 무더위가 찾아온다??
문제는 지금도 이렇게 더운데
2024년에는 지구의 온도가 역대급으로 상승하며 초강력 폭염이 찾아올 것이라고 합니다.
그 원인 중 하나에는 '엘니뇨' 현상이 있습니다 .
엘니뇨는 2~7년 주기, 평균 3~4년 주기로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지난 3년 동안 엘니뇨와 반대되는 '라니냐'의 도움으로 그나마 지구 온도가 약간 감소하였지만
2024년에는 산업화 이전 대비 약 1.5℃의 기온이 상승하며 지구 온난화의 문제가 점점 가속화 될 것이 예상 되어집니다.
2024년 무더위로 인한 경기침체??
그런데 무더위로 인해 경기침체가 올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15년 지구 온난화에 대한 문제를 국제적으로 해결하고자 산업화 이전 대비 2℃의 상승을 막고자 한
"파리기후변화협정"에도 불구하고 내년에는 약 1.5℃의 기온이 상승하게 되면
국제적으로 탄소규제가 가속화 되고 이로 인해 산업 생산성이 급락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전 세계적인 탄소 배출 감축 열풍에 따라 사회 전방위적인 성장성 둔화와 경기 침체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세계가 지구온난화에 대비해야 할 것들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기 전에 세계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비해야 합니다.
1. 해수면 상승: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도시와 농경지가 침수 위험에 처하게 됩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제방 및 방파제 건설과 같은 인프라 구축, 해안가 거주지 이전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2. 폭염 및 혹한: 기후 변화로 인해 극심한 폭염 또는 혹한에 대비해야 합니다. 에너지 효율적인 건물 설계와 냉난방 시스템 개선, 공공 냉방 시설 등을 확대하고, 빈곤층 등 취약계층의 보호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3.농업 및 식량 안보: 기후 변화가 심해지면 농지와 물 공급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적응 농술, 농작물의 다양화 및 생산성 향상, 기상 정보 및 재해 예측과 관련된 농업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4.환경 생태계 변화: 온난화로 인해 육상 및 해양 생태계에 변화가 발생하며, 이는 생물 다양성 감소와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합니다. 복원 가능한 생태계를 확보하고 다양한 생물 종의 보호를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5.기상 재해 대비: 태풍, 홍수, 가뭄 등 기상 재해가 더욱 심해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합니다. 재해 예측 기술 발전과 효율적인 경고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예방적 인프라 개발이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2024년 지구온난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면 물도 부족해지고 전력난도 심화된다고 하니
이에 대비해서 미리 생수라도 사놓아야 하는건 아닐까" 생각을 하면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더운 날씨 몸 조심하시고 다음에 뵙겠습니다 안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