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친환경적인 생활

헷갈리기 쉬운 분리수거 제대로 하자! (환경,플라스틱,페트병 뚜껑,스티로폼,빨대)

안녕하세요!

지구를 고치고 싶은 정수리남 입니다!!

분리수거만 제대로 해도 지구를 지킬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분리수거는 어렵게 느껴지고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빨대는 플라스틱이니 플라스틱에 분리수거를 하지만 

빨대는 얇아서 재활용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

플라스틱 자체로도 환경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데 재활용까지 안된다고 하니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자제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처럼 각각의 품목과 분리 수거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빨대 말고도 헷갈리기 쉬운 분리수거 품목에 대해 더 알아보겠습니다.

라벨이 붙은 플라스틱 용기

저희가 자주 마시는 생수나 음료수의 플라스틱용기 같이 라벨이 붙어 있을 경우, 라벨을 떼어내고 별도로 분리해서 수거

합니다. 용기와 라벨의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분리수거가 필요합니다.

이 때, 플라스틱 용기는 깨끗하게 물로 헹궈서 배출해야 합니다

용기에 붙은 뚜껑

일반적으로 페트병이나 유리병에 붙어있는 뚜껑은 따로 떼어내어 플라스틱류로 분리수거합니다.

히지만 환경부에서는 뚜껑을 닫고 버릴 것을 권고 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을 처리하는 과정 중 압축,분쇄 후에 작은 조각으로 만든 후 물에 담가보면 PET는 가라앉지만

다른 재질은 수면위로 떠오르기 때문에 선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오히려 닫지 않으면 페트병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가 오염이 되며 찌끄러뜨려서 뚜껑을 닫아 버리면 부피가 줄어

운반이 훨씬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각 거주지의 안내에 따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컵라면 용기

스티로폼이나 종이로 되어 있는 컵라면 용기는 깨끗하게 씻어서 종이류나 스티로폼으로 분리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컵라면 용기는 아무리 깨끗하게 씼는다고 해도 재활용이 되지 않아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종이컵

여러분이 카페에서 즐겨 마시는 커피 컵은 종이류로 분리수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종이컵은 종이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음료를 담기 위해 내부에 얇은 플라스틱 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종이류로 분류하기 힘들어 일반쓰레기로 분류하여 버리는게 맞습니다.

또한 흔히 사용하는 종이컵은 일부 지역에서는 종이류로, 일부에서는 일반 쓰레기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것 역시 해당 거주지의 안내 지침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카페에서 마시는 커피나 음료로 인한 종이컵,빨대는 모두 재활용이 안되는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선물세트 포장재

명절 선물에 흔히 볼수 있는 보자기나 부직포 바구니는 일반 쓰레기로 배출합니다

선물박스는 종이로 분리배출하면 될 거 같지만 겉면이 코팅되어 있는 경우 종이 쓰레기로 재활용이 힘듭니다

재질을 확인한 후 코팅지가 아닐 경우 스티커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곱게 펴서 종이로 배출하면 됩니다.

코팅된 소핑백도 마찬가지로 잘게 찢어서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과일이 다치지 않도록 싸놓은 포장재는 어떨까요?

과일을 포장한 그물 모양이나 흰색 꽃받침대 모양 스티로폼은 재활용이 안됩니다.

에어캡, 일명 '뽁뽁이'라고 불리는 완충재를 분리배출 할 때는 모두 터트려서 부피를 줄인 후

비닐류로 배출하면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명절 선물로 인한 포장재는 거의 다 재활용이 힘들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토너 카트리지, 이어폰, 충전기 등 소형 전자제품

토너 카트리지, 이어폰, 충전기 등의 소형 전자제품은 소형 가전 전용 수거함이나 가전 판매점을 통해

분리수거해야 합니다. 소형 전자제품의 경우 재활용 마크가 없어도 분리수거함에 넣을 수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방법

 

분리수거를 할 때에는 품목과 지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천하셔야 합니다!

헷갈리는 경우, 거주지의 환경부서에 문의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분리수거를 통해 환경보호에 기여합시다.

이상으로 지구를 고치고 싶은 정수리남 이었습니다.

안녕!!